그 많던 국새 어디로 사라졌나? _인쇄할 빙고 칩_krvip

그 많던 국새 어디로 사라졌나? _각 아르헨티나 선수가 벌게 될 금액_krvip

고종 재위 13년째인 1876년 11월4일, 경복궁 교태전이 화재로 소실됐다. 이 화재로 이곳에 보관하던 임금의 도장인 국새(國璽) 또한 대부분 소실되거나 손상됐다. 이에 고종은 나흘 뒤에 "화재로 소실한 옥새(玉璽)와 인장(印章)을 새로 만들도록 하라"는 지시와 내린다. 이때 고종은 옥새와 인장을 "다시 주조하고 만들되 수리하는 일은 본소(本所. 무위소<武衛所>)와 호조(戶曹)에서 하도록 하라"는 명령을 덧붙였다. 보인(寶印) 즉, 임금이 사용하는 각종 도장은 원래 호조에서 제작을 담당했으나, 고종은 재위 11년(1874)에 이르러 아버지 흥선대원군(이하응)으로부터 실질적 통치권을 넘겨받은 뒤 이 일을 자신이 창설한 군대조직인 무위소(武衛所)에 맡겼던 것이다. 교태전 화재와 더불어 진행된 새로운 보인 제작의 상세한 과정은 장서각이 소장한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라는 기록에 보인다. 이에 의하면 새로운 보인은 그 해 12월27일까지 모두 11과(科=개)가 제조돼 고종에게 헌상됐다. 이때 만든 '임금 도장'을 보인소의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대보(大寶) ▲시명지보(施命之寶) ▲유서지보(諭書之寶) ▲세자궁옥인(世子宮玉印) ▲조선왕보(朝鮮王寶) ▲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 ▲소신지보(昭信之寶) ▲이덕보(以德寶) ▲과거지보(科擧之寶) ▲선사지기(宣賜之記) ▲무위소(武衛所). 이때는 고종이 황제에 즉위하기 전이었으므로 황제가 아닌 '조선왕'의 신분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도장을 만들어 사용한 것이다. 그러다가 고종은 1897년에 이르러 대한제국 수립을 선포하고 황제로 즉위한다. 그가 사용하는 각종 도장 또한 황제의 위상에 걸맞게 새로 만들어야 했다. 이때 새로 제작한 '황제 도장'은 모두 13과였음이 그의 황제 즉위 과정을 파노라마처럼 기록한 '대례의궤'(大禮儀軌.1897)라는 문헌에 보인다. 그 13과는 대한국새(大韓國璽), 황제지새(皇帝之璽), 황제지보(皇帝之寶), 칙명지보(勅命之寶), 제고지보(制誥之寶), 시명지보(施明之寶), 대원수보(大元帥寶), 원수지보(元帥之寶) 등이었다. 이 중 고종황제가 외국 원수에게 친서 등을 보낼 때 직접 사용한 국새는 대한국새와 황제지새 등이었으며, 나머지는 황제가 국내에서 신민들에게 명령을 내리거나 군통수권을 행사할 때 사용한 도장이었다. 고종의 사례에서 보듯이 그 신분이 '조선왕'이건 대한제국 '황제'건 관계없이 조선시대 군주는 같은 사람이라고 해도 많은 국새를 제작해 여러 가지 용도에 맞춰 사용했다. 조선왕조 500년 기간에 27명의 왕이 사용한 국새는 그 정확한 통계수치는 없지만 엄청나게 많았을 것임이 틀림없다. 그럼에도 의아하게도 지금까지 조선시대 국새는 거의 실물이 남아있지 않다. 이에 대해 국립고궁박물관 등이 상설전시품으로 내놓은 '임금 도장'은 도대체 뭐냐는 의문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도장들은 거의 예외없이 '어보'(御寶)라고 해서 종묘의 신실(神室) 즉, 각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공간에 안치한 의례용 도장이다. 따라서 이런 어보는 실무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그렇다면 그 많던 국새들이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다른 것은 실마리조차 없지만 고종의 국새가 어떤 운명을 맞았는지는 그 단서를 포착할 만한 기록이 남아있다. 순종실록 1911년 3월3일(양력) 기록에 의하면 일본의 차관(次官)인 고미야 사보마쓰(小宮三保松)라는 사람이 "옛 국새(國璽)와 보새(寶璽)를 총독부에 인계했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그 구체적인 내역을 이 순종실록은 대한국새(大韓國璽) 1과, 황제지새(皇帝之璽) 1과, 대원수보(大元帥寶) 1과, 제고지보(制誥之寶) 1과, 칙명지보(勅命之寶) 1과, 칙령지보(勅令之寶) 1과 등으로 적었다. 이 중 제고지보와 대원수보, 그리고 칙명지보의 3점은 맥아더 미군정 시절 환수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지만 '대외용'이 아니라 '국내용'으로 실제 사용된 흔적은 확인되지 않고있다. 대외적으로 대한제국을 대표하면서 왕권 그 자체를 상징하는 '대한국새'와 '황제지새' 등은 아직 실물이 발견되지 않아왔다. 이런 와중에 국립고궁박물관이 고종황제가 친서 등을 보낼 때 실제 사용한 국새를 입수한 것이다. 박물관은 그 입수 경로를 해외문화재 환수 일환이라고만 밝히고 그 자세한 사정을 공개하지는 않지만 지난해 12월 재미교포에게서 구입하고 지금까지 약 3개월 동안 국사편찬위원회가 소장한 유리원판 사진 판독과 국새에 대한 비파괴 검사 등을 통해 그 진위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